오늘 많은 양의 눈이 내렸습니다.
역대 눈이 많이 왔던 기록을 한번 봐볼까요??
역대 대한민국에서 눈이 가장 많이 온 날
1위: 1962년 1월 31일
울릉도에서 293.6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2위: 1922년 3월 24일
서울에서 31.0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3위: 1969년 1월 31일
서울에서 30.0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4위: 1969년 2월 1일
서울에서 28.6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5위: 2024년 11월 28일
서울에서 28.6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6위: 2010년 1월 4일
서울에서 25.8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7위: 2024년 11월 28일
인천에서 25.7cm의 적설량을 기록했습니다.
폭설 대비 가이드
폭설은 예상치 못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 교통 혼란, 정전, 건물 붕괴 등 여러 문제를 예방하려면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는 폭설에 대비하기 위한 핵심 팁입니다.
1. 차량 대비
-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거나 체인을 준비하세요.
- 윈터 워셔액과 김서림 방지제를 구비하세요.
- 연료를 충분히 채워 두고, 비상 탈출 장비(삽, 모래, 담요 등)를 준비하세요.
2. 가정 대비
- 정전에 대비해 손전등, 배터리, 캠핑용 랜턴을 준비하세요.
- 난방 기구와 추가 난방 연료(석유, 가스 등)를 점검하세요.
- 물이 동결되지 않도록 수도관 보온재를 설치하세요.
- 식수와 비상 식량(라면, 통조림 등)을 충분히 비축하세요.
3. 외출 시 주의사항
- 가능하면 외출을 자제하고, 꼭 필요한 경우에는 체온 유지에 유의하세요.
- 내리막길이나 얼어붙은 도로를 피하세요.
- 눈이 쌓인 지붕이나 나무 밑은 피하세요. 눈사태나 붕괴의 위험이 있습니다.
4. 긴급 상황 대처
- 눈에 갇혔을 경우 차량 내에서 무리하게 빠져나오려 하지 말고, 구조를 요청하세요.
- 정전 시 전기난로 대신 가스난로나 캠핑용 히터를 사용하세요. 단, 환기에 주의하세요.
- 응급 구조 번호(119)를 기억하고 필요한 경우 즉시 신고하세요.
5. 유용한 정보 및 서비스
사전에 철저히 준비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세요!